본문 바로가기
정치

[한미 협상 팩트시트] Fact Sheet 영문 원문 원본 볼 수 있는곳 한글번역

by 알려주마님 2025. 11. 15.
반응형

원문을 보시려면 위의 사진이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이번 한미 협상 팩트시트(영문본)의 주요 내용은 2025년 10~11월 미-한 정상회담 이후 백악관이 발표한 ‘Joint Fact Sheet’에 상세히 나와 있습니다. 아래는 백악관 공식 발표 내용을 영문 원문으로 요약 정리한 것입니다.

JOINT FACT SHEET: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Strengthening the Alliance
"In light of President Trump's historic 2024 victory and President Lee’s election demonstrating the ROK’s democratic strength and resilience, they declared a new chapter in the U.S.-ROK Alliance, the linchpin for peace, security and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the Indo-Pacific region."Rebuilding and Expanding Critical Industries


"President Trump and President Lee reaffirmed the historic announcement in July of The Korea Strategic Trade and Investment deal, which reflects the strength and endurance of the U.S.-ROK Alliance. This deal also includes $200 billion of additional Korean investment committed pursuant to the Memorandum of Understanding with respect to Strategic Investments (MOU), which is expected to be signed by representatives of the United States and ROK."Commercial Ties and Reciprocal Trade
"The two leaders welcomed a series of commercial commitments in strategic sectors, reflecting the confidence of the private sector in the strong bilateral economic partnership.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will address non-tariff barriers and memorialize commitments and a plan of action to promote reciprocal trade, to be adopted by the KORUS Joint Committee before the end of the year."

Tariffs
"The United States also agreed that the tariff on pharmaceuticals will not exceed 15%, and for semiconductors, a key export item to the United States, it said, 'The United States will offer Korea terms no less favorable than those that could be provided in a future agreement covering semiconductor trade at least equivalent in scale to Korea’s semiconductor trade.'"

Investment Commitments
"The two countries agreed that Korea will not be required to raise a total amount exceeding $20 billion (about 29 trillion won) in any fiscal year. If there is concern that market instability, such as disorderly fluctuations in the won, may arise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commitments under the MOU, Korea may request adjustments to the size and timing of financing, and the United States will consider this in good faith."

Defense and Security
"The United States reaffirmed its pledge to provide extended deterrence, leveraging the full range of its capabilities, including nuclear. The two leaders committed to strengthening cooperation through consultation mechanisms including the Nuclear Consultative Group. President Lee shared the ROK’s plan to increase its defense spending to 3.5% of GDP as soon as possible in accordance with ROK legal requirements, which President Trump welcomed. The ROK also committed to spending $25 billion on U.S. military equipment purchases by 2030, and shared its plan to provide comprehensive support for U.S. Forces Korea amounting to $33 billion."

Wartime Operational Control
"The two leaders committed to continue alliance cooperation toward the transition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With the support of the United States, the ROK pledged to accelerate efforts to strengthen its military capabilities necessary to lead the combined conventional defense against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Nuclear Submarine Cooperation
"The United States has given approval for the ROK to build nuclear-powered attack submarines. The United States will work closely with the ROK to advance requirements for this shipbuilding project, including avenues to source fuel. The United States supports Korea’s pursuit of a process leading to civilian uranium enrichment and reprocessing of spent nuclear fuel for peaceful purposes."

Advanced Technology and Cyber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pledged to expand cooperation in cyberspace and outer space. The two leaders also reaffirmed their intention to continue working together on AI in the military domain."

Denuclearization and DPRK Policy
"The two leaders reiterated their commitment to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the DPRK and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pledged to work together to implement the Joint Statement of the 2018 U.S.-DPRK Singapore Summit. Both leaders agreed to coordinate closely on DPRK policy and called on the DPRK to return to meaningful dialogue and abide by its international obligations, including by abandoning it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WMD) and ballistic missile programs."


위 내용은 백악관 발표 영문 원문 주요 문장을 그대로 인용 또는 요약한 것입니다.

한글번역

🇺🇸🇰🇷 미국–대한민국 공동 팩트 시트: 동맹 강화

동맹 강화

“트럼프 대통령의 역사적인 2024년 승리와 이 대통령의 당선이 보여준 한국의 민주적 강인함과 회복력에 비추어, 양 정상은 한반도 및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안보·번영의 핵심축(linchpin)인 한미동맹의 새로운 장을 선언하였다.”


---

핵심 산업 재건 및 확대

“트럼프 대통령과 이 대통령은 7월에 발표된 *한미 전략적 무역·투자 협정(The Korea Strategic Trade and Investment deal)*을 재확인하였다. 이는 한미동맹의 견고함과 지속성을 보여주는 역사적 발표이며, 이 협정에는 전략적 투자에 관한 양해각서(MOU)에 따라 한국이 추가로 약속한 2,000억 달러 규모의 투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미국과 한국 대표단이 서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

상업적 연계 및 상호적 무역

“양 정상은 전략적 분야에서 일련의 상업적 약속들을 환영하였으며, 이는 강력한 양자 경제 파트너십에 대한 민간 부문의 신뢰를 반영한다. 미국과 한국은 비관세 장벽 문제를 해결하고, 상호적 무역을 촉진하기 위한 약속과 실행 계획을 문서화하여 연말까지 KORUS 공동위원회에서 채택하기로 하였다.”


---

관세(Tariffs)

“미국은 의약품에 대한 관세를 15%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로 합의하였다. 또한 미국으로의 주요 수출품인 반도체와 관련해, ‘미국은 한국의 반도체 무역 규모에 상응하는 미래 반도체 무역 협정에서 제공될 수 있는 조건보다 불리하지 않은 조건을 한국에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

투자 약정(Investment Commitments)

“양국은 한국이 어떤 회계연도에도 **200억 달러(약 29조 원)**를 초과하는 자금을 조달하도록 요구받지 않기로 합의하였다. 또한 MOU 이행 과정에서 원화의 무질서한 변동 등 시장 불안정성 우려가 발생할 경우, 한국은 조달 규모와 시기의 조정을 요청할 수 있으며, 미국은 이를 성실하게 검토하기로 하였다.”


---

국방 및 안보

“미국은 핵을 포함한 모든 역량을 활용한 확장억제 제공 약속을 재확인하였다. 양 정상은 핵협의그룹(NCG)을 포함한 협의체를 통해 협력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이 대통령은 한국의 국방비를 가능한 한 빠르게 국내 법적 요건에 따라 GDP 대비 3.5%로 인상할 계획을 공유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환영하였다. 또한 한국은 2030년까지 25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군사 장비 구매, 그리고 주한미군에 대한 330억 달러 규모의 종합적 지원 계획을 공유하였다.”


---

전시작전통제권(OPCON)

“양 정상은 전작권 전환을 위한 동맹 협력을 지속하기로 약속하였다. 미국의 지원 아래 한국은 북한의 재래식 위협에 대한 연합 방위를 주도할 수 있는 군사 능력 강화 노력을 가속화하기로 하였다.”


---

핵추진 잠수함 협력

“미국은 한국의 핵추진 공격잠수함 구축을 승인하였다. 미국은 해당 사업의 요구사항 진전을 위해 연료 조달 경로 등을 포함해 한국과 긴밀히 협력할 것이다. 또한 미국은 한국의 평화적 목적의 우라늄 농축 및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추구 절차를 지지한다.”


---

첨단 기술 및 사이버

“미국과 한국은 사이버 및 우주 영역에서의 협력을 확대하기로 약속하였다. 양 정상은 또한 군사 분야에서의 AI 협력 지속 의지를 재확인하였다.”


---

비핵화 및 대북정책

“양 정상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안정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하고, 2018년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공동성명 이행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약속하였다. 양 정상은 북한에 의미 있는 대화 복귀를 촉구하고, 대량살상무기(WMD) 및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포기를 포함한 국제 의무를 준수할 것을 요구하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