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V 유투브

[승연초이] 게임즈 GAMES 2024년 2025년 규칙 및 와드 구성 변경 차이점

by 알려주마님 2025. 8. 4.
반응형

 

저도 게임즈라는 대회를 승연초이님 덕분에 알게 되었는데요. 

보다보니까 흥미롭네요. 어제 밤새워서 마지막날 생중계를 시청했습니다. 

승연초이님은 그 백프로 서양인들 사이에서 유일한 아시아 출신 여성으로 당당하게 완주했고 25위를 기록했습니다. 

 

2024년과 2025년 크로스핏 게임즈 시즌 규칙은 여러 부분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주요 변경사항을 아래에 정리합니다.

2024 vs 2025 크로스핏 게임즈 규칙 차이점

1. 대회 구조 및 진출 단계

  • 2024년:
    • 오픈(Open) → 쿼터파이널(Quarterfinals) → 세미파이널(Semifinals) → 게임즈(Games)
    • 각 단계별로 참가 인원 및 진출 방식이 달랐습니다.
  • 2025년:
    • 쿼터파이널이 완전히 폐지됨.
    • 오픈 → 세미파이널(대부분 인-어필리에이트 방식/온라인) → 게임즈로 간소화.
    • 진출 인원 감소:
      • 남녀 개인전 각각 40명 → 30명으로 축소
      • 팀 부문 30팀 → 20팀으로 축소
      • 한 어필리에이트(박스)에서 팀은 1개만 게임즈 진출 가능

2. 세부 경쟁 방식

  • 2025년 세미파이널 대부분 온라인화
    • 세미파이널 예선이 각 어필리에이트(즉, 박스)에서 자체적으로 치러짐
    • 개인/팀 모두 온라인 제출 및 애플리케이션 기반 심사 강화
    • 일부 인-퍼슨(현장) 예선도 존재하나 선택적
  • 커뮤니티 컵 신설
    • 오픈 모든 종목을 완주하면 '커뮤니티 컵'에 추가 도전 가능

3. 성별·지역 구분 정책

  • 2025년부터 성별분류는 '출생시의 성' 기준으로 적용
    • 법적/의학적 증빙으로도 예외 인정하지 않음
  • 경쟁 지역 판정:
    • 2024년까지는 '시민권' 기준
    • 2025년엔 거주 국가 기준(시즌 초 오픈 제출 시점 기준 거주 국가에서 끝까지 경기)

4. 상금/참여 및 심사 방식 변화

  • 등록비 일부가 오픈/브리짓 퍼포먼스 및 어필리에이트 상금으로 배분
  • 세미파이널 이상 단계에선 인증된 판정관(Registered Judges)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
  • 영상 제출 등 심사 조건 일부 강화

5. 새로운 종목 및 부문

  • 2025년 '커뮤니티 컵', '페어 챔피언십' 등 부문 신설
  • 어댑티브(장애인) 및 연령별 부문에서도 세부 분류 및 규정 일부 변경

 

 

2024년과 2025년 크로스핏 게임즈의 와드(WOD, Workout of the Day) 구성에는 확연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아래 표와 설명을 참고하시면 양 시즌의 특징과 변화 포인트를 이해하기 쉽습니다.

1. 오픈(예선) WOD 비교

2. 본선(게임즈 파이널) WOD 구조 변화

3. 세부 변화 포인트

  • 2025년 와드의 특징
    • 시작부터 ‘4마일 런+3,000m 로우+2마일 런’ 등 장거리 내구성 종목 삽입
    • 페그보드, 크로스오버 더블 언더, 월워크 등 고난도 기술 동작 다수
    • 기존보다 다양한 장비와 복합 세트(웨이트+바디웨이트+유산소) 비중 증가
    • 체력+근지구력+스킬 고루 요구
    • 1RM(최대중량) 단일 이벤트 본선 포함
  • 2024년 와드의 특징
    • 전통적 크로스핏 복합(덤벨, 바벨, 바디웨이트, 로우 등) 중심
    • Yeardworm(대형 장비)·Snail(밀기) 등 팀 단체, 페어 이벤트 강조
    • 가까운 거리 내 왕복/합산, 팀 동시 동작이 반복적

4. 요약

  • 2025년: 더 기술집약적/내구성+스킬+무작위·고강도 복합, 신규 종목 대폭 신설
  • 2024년: 크로스핏 전통적 조합+팀/페어/대형장비 사용, 비교적 예측 가능한 종목
  • 결론: 두 시즌 모두 "피트니스 최강자"를 가리기 위한 목적 아래, 해마다 완전히 달라지는 독창적인 와드 구성이 큰 특징입니다.

이처럼 크로스핏 게임즈는 시그니처 WOD 자체가 매년 새롭게 바뀌기 때문에, 참가자도 팬도 항상 새로움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